본문 바로가기
경제

탈레반을 통해 알아본 아프가니스탄(아프간)

by 돈 굴리는 남자 2021. 8.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돈 굴리는 남자입니다. 

 

오늘은 아프가니스탄과 탈레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프가니스탄 (아프간)

아프가니스탄은 내륙국이며, 중국, 파키스탄, 이란 등 많은 나라와 맞닿아 있습니다.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전략적인 위치로 인해 수많은 군사 활동이 이루어진 곳이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정복 세력으로 알렉산더 대왕, 이슬람 제국, 몽골 제국, 대영제국, 소련, 미국이 있습니다. 

 

[출처 : 구글 지도]

냉전시대(1945년 ~ 1991년)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고, 이에 맞서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히딘을 지원하여 소련 점령군에 맞서 싸울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소련이 점령하는 과정에서 아프가니스탄 내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나오자, 소련은 국제 사회의 압력에 못 이겨 1989년 철수하였습니다. 

 

소련군이 철수한 이후 무자히딘 내 각 분파들 간에 내전에 발생하였으며, '탈레반'이 정치 종교 세력으로 성장하여 결국 1996년 카불을 장악하였습니다. 

 

수니파(사우디아라비아) - 시아파(이란)

중동의 두 강국,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간 갈등은 1,4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슬람이 수니파와 시아파로 쪼개진 건 이슬람 공동체 지도자였던 선지지 무함마드가 후계자를 정하지 않은 채 숨을 거두면서부터입니다. 

 

이슬람 공동체는 스스로 후계자를 정해야 했는데, 무함마드의 혈육을 후계자로 삼아야 한다는 사람들은 '시아파'가 되었고, 공동체 합의를 통해 적임자를 뽑아야 한다는 이들은 '수니파'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시아파는 무함마드 사촌이자 사위인 알리 이븐 아비 탈립을 초대 칼리프(정치 종교 지도자)로 추대하려 했으나, 수니파는 무함마드의 친구이자 장인인 아부 바크르를 추대했습니다. 

결국 수니파 의견에 따라 아부 바크르가 초대 칼리프가 되었으며, 이후 시아파는 공동체 내의 큰 불만 세력으로 자라났습니다. 

 

두 종파간 갈등의 골이 깊어진 계기는 시아파의 알리가 어렵게 4대 칼리프에 올랐다가 곧 암살되면서부터입니다. 그 뒤 알리의 장남 하산마저 수니파의 꼬임에 넘어간 그의 아내에게 독살당하고, 차남 후세인도 수니파와 치른 전투에서 숨지면서 두 종파는 원수지간이 되었습니다. 

 

현재 전 세계 16억 무슬림 중 90%가 수니파이고, 10%가 시아파입니다. 정치적 기반과 종파가 밀접하게 얽힌 이슬람 국가들은 반대 종파와 분쟁을 빚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으며, 그중심에는 사우디와 이란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아프가니스탄 인구의 99%가 넘는 사람들이 무슬림이며, 그 중 70% 정도가 수니파이고, 나머지 29%는 시아파입니다.

 

[출처 : 조선일보, 중동 국가별 이슬람 종파 분포도]

 

알카에다 - 탈레반 

알카에다는 사우디아라비아 출신인 오사마 빈 라덴이 창시한 국제 무장 세력입니다. 알카에다는 이슬람 원리주의 계통에 속해 반미국, 반유대를 표방합니다. 

 

[출처 : 매일경제,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세력 계보]

 

알카에다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대항한 이슬람 의용군(무자헤딘)이 연대한 조직이 기원이었으나, 그 후 걸프 전쟁을 계기로 미국이 군대를 사우디아라비아에 있는 이슬람교 2대 성지 메카와 메디나에 상주하게 한 만행이 계기가 되어 반미국 투쟁으로 진화되었습니다. 

 

알카에다의 가장 큰 테러는 2001년 9월 11일의 테러 행위로 4대 민간 항공기를 공중납치하여 건물에 충돌시키는 방법으로 세계 무역 센터 건물을 붕괴시키고, 버지니아주의 펜타곤 건물(미 국방성 건물)을 일부 파괴시킨 일입니다. 

 

미국은 9.11 테러의 배후로 알려진 알카에다와 빈 라덴과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합니다. 

미국은 9.11 테러의 주범인 알카에다와 오사마 빈 라덴을 지원하는 탈레반 정권을 축출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후, 다시 아프가니스탄을 탈환하려 한 탈레반으로부터 새로 구성된 아프가니스탄 정부를 지원 유지하려는 목적이 있었습니다. 

 

[출처 : 중앙Sunday, 미국의 아프간 '20년 전쟁' 일지]

 

결과적으로 미국이 철수를 발표함으로 인해 아프가니스탄은 영국, 소련, 미국으로부터 나라를 지켜내는데 성공하였으며, 반대로 미국은 이 무의미한 전쟁에 최소 2조 달러를 지출하게 되었습니다.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탈환의 시사점 

중동 주요국 중 탈레반에 우호적인 태도를 취하는 나라는 반미의 선두주자이자 아프간과 약 920 km의 국경을 접한 이란입니다. 이란은 시아파의 맹주이고, 탈레반은 수니파지만, 혈통, 언어, 반미 노선 등을 공유하고 있어 협력을 맺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이미 이란에는 약 300만 명의 아프간 난민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란이 탈레반과 우호적인 관계지만, 시아파를 적으로 간주하는 이슬람국가(IS), 알카에다 등 수니파 무장단체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어 탈레반 정권이 안정될 때까지는 중동 정세는 불안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니파 맹주이자 친미 국가인 사우디를 비롯해 이집트, 요르단 등은 탈레반을 견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왕정 유지가 최대 목표인 사우디 왕실의 입장에서는 자국 내 왕정 반대파가 탈레반 같은 극단주의 조직과 손잡고 반기를 드는 것을 우려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결과적으로 미국의 울타리 안에서 안락한 삶을 누렸던 친미 중동국가와 미국의 견재를 받았던 반미 중동국가 간 대립으로 번질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견제 대상이 되고 있는 중국, 러시아 등은 이번 기회를 통해 미국의 국제적 입지를 약화시키려고 할 것입니다. 

 

중동 정세가 흔들리면 유가의 변동성이 급격해질 우려가 있으며, 국제 정세가 흔들리면 주가의 변동성이 급격해질 우려가 있습니다. 

 

불안한 시기에 현금 보유 비율을 조금 높여보시는 것도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 현금 보유 비율을 높이고 싶은데, 손실구간인 종목을 정리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정말 말과 행동을 일치시키기 어려운 요즘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