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9 중국 여객기(C919) 자체 개발 (저가 항공 탈 때 비행기 기종 확인하자!) 안녕하세요! 돈 굴리는 남자입니다. 오늘은 중국의 여객기 개발 소식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연쇄 추락사고로 인해 운항 금지 조치가 되었던 '보잉 737 맥스' 기종이 브라질, 미국에 이어 캐나다에서도 운항 금지 조치가 해제되었습니다. 운항 금지조치가 풀리면 보잉을 매수하려고 대기하시던 분들이 많을 실 줄 압니다. 저도 기다리던 뉴스였으니 말입니다. 운항 금지조치는 작년 말 브라질부터 풀렸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떨어지는 모습입니다. 경쟁사인 에어버스도 11월에 백신 기대감에 상승하고 주가가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백신의 확산율(백신 접종 증가율)이 기대보다 빠르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또한 오늘 신문기사에 중국상용항공기(COMAC)에서 중대형 항공기인 '코맥 C919' 기종이 20일간의 초저온 시험.. 2021. 1. 20. 장단기 국채 금리 역전과 경기 침체 안녕하세요! 돈 굴리는 남자입니다. 최근 미국 장단기 국채 금리가 역전되면 경기 침체가 올 것이라는 기사를 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기사를 지나치듯 보면 그런가 보다 했지만, 그 인과관계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 보니 잘 이어지지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채권 금리와 경기와의 상관관계에 알아보았습니다.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 간의 관계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은 흔히 반비례 관계라고 합니다. 즉, 채권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은 떨어지고, 채권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 가격은 올라가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특징을 갖는 이유는 채권이 만기가 되면 받을 수 있는 돈이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금리 10%의 1년 만기 채권을 1만원에 매수했다고 가정합니다. 금리 변동이 없다면 채권의 가격은 시간이 지.. 2021. 1. 19. 코로나 백신 원리 및 현황, 그리고 백신 맞을 용기 안녕하세요! 돈 굴리는 남자입니다. 오늘은 코로나 백신 현황에 대해 준비해 보았습니다. 최근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우리나라 정부의 백신 확보 이슈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변종 바이러스 이슈가 우리를 또 한 번 움츠리게 했었습니다. 일부 다국적 제약사에서는 백신이 이미 개발되었고, 셀트리온을 포함해 많은 제약사들은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백신을 이미 개발한 회사인 화이자 및 모더나 등은 올해 생산목표를 늘리며 공급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입니다. 코로나 백신 개발 및 공급 이슈는 글로벌 제약사의 브랜드 가치를 굳힐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며, 셀트리온과 같은 제약사에는 글로벌 제약사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기회이므로 당연히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입니다. 국가와 제약사는 준비가 되었지만, 그렇다면 .. 2021. 1. 13. 공매도 재개 이후 동학개미들의 운명은? 안녕하세요! 돈 굴리는 남자입니다. 오늘은 공매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매도란?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미리 빌려서 팔고 나중에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다시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아서 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을 의미합니다. 위의 그림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제약사 A기업은 코로나 치료제 3상을 거의 통과했다는 소문에 주가가 단기 급등하여 1만 원에 도달했습니다. 전문가인 저는 A기업이 3상을 통과할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사실을 추정할 수 있었고, 이 가정을 근거로 공매도를 실행합니다. 아니나 다를까 3상 실패 소식에 A기업의 주가는 연일 하한가에 도달했고, 투매로 인해 주가는 1/10 가격으로 떨어졌습니다. 투자자들이 정신 차리면 다시 오를 것이 예상되어.. 2021. 1. 12.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