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돈 굴리는 남자입니다.
공매도 연장이 되었지만, 4월 7일 보궐선거를 염두에 둔 정부의 의도가 있다는 중론입니다.
오늘은 간략하게 공매도 상위 종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매도의 주요 일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0년 3월 16일부터 공매도가 금지되었으니, 2020년 3월 16일부터 현재까지 공매도한 주식의 상환만 가능했습니다.
물론 시장조성자에게만 제한적으로 공매도를 허용했습니다만, 공매도 잔고 상위 종목 중에서는 공매도 잔고는 늘어난 종목은 없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럼 2020년 3월 16일 기준, 코스피 및 코스닥 공매도 잔고 상위 20 종목입니다.
그리고 2021년 1월 25일 기준, 코스피 및 코스닥 공매도 잔고 상위 20 종목입니다.
연초에 지수가 최고가 행진을 하면서 공매도 잔고가 많이 줄어든 모습입니다.
코스피200 및 코스닥150 종목에 대해 5월 3일부터 재개되므로, 개인투자자 비중이 많으면서 실적과 주가의 괴리가 심한 종목은 피하는 게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미 공매도 대상 종목이 확정되었습니다. 다시 말해 불확실성은 제거되었고, 더 이상 공매도 세력들은 각종 기대감(코로나 백신, 경기회복, 신약 등)에 따른 일시적인 주가 상승 때문에 공매도 주식을 상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란 생각입니다.
따라서 여행, 항공, 숙박, 카지노, 제약 관련 업종 접근에 신중을 기해야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공매도 세력에 대한 보복감, 공매도 주식의 주가 급등락을 통해 시세차익을 노리려는 생각은 가능하면 하지 마시고, 마음에 평화를 가질 수 있는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공매도에 따른 피해 없이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터리 관련 투자는 어디에? (LG화학 : SK이노베이션 : 삼성SDI) (0) | 2021.02.15 |
---|---|
비트코인 상승 이유 (0) | 2021.02.09 |
부동산 사기 유형 (기획파산 / 지분 쪼개기) (0) | 2021.02.04 |
개인은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까? (시장을 이기는 방법) (0) | 2021.02.03 |
기업의 이익 극대화 vs 고용 위기 (공장 자동화, 사내하청, 무노조 경영) (0) | 2021.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