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돈 굴리는 남자 입니다.
원자재 가격이 계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 배경에는 코로나 팬더믹 이후 경기 회복 기대감이 있습니다.
또한, 중국의 제조업 PMI가 9개월 연속 확장 국면에 있고, 한국도 제조업 PMI 도 52.9로 거의 10년 만의 최고 수준이라 언론에 보도되고 있습니다.
* PMI 지수
Purchasing Managers' Index, '구매관리자지수'라고 하며 제조업 분야의 경기동향지수를 나타냅니다.
기업의 구매담당자들이 직접 체감하는 경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수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PMI가 50 이상이면 경기의 확장, 50 미만일 경우에는 수축을 의미합니다.
제조업이 활황이라면, 당연히 원자재 수요도 늘어날 텐데요.
원자재 관련주 중 경기 민감한 '원유' 에 알아보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aVprS/btqPQtSzCWQ/9GnYCOKmqhoy8ZWSwesi81/img.png)
I. 원유(Crude Oil)의 종류
![](https://blog.kakaocdn.net/dn/bcflA2/btqPNxnrj3K/2bKvusOqWnuSJKpve62qI1/img.png)
원유의 종류는 '서부텍사스 중질유 (WTI), 브렌트유, 두바이유'로 나뉘게 됩니다.
생산지역에 따라 원유의 품질이 다르며, 이에 따라 가격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WTI는 주로 뉴욕상업거래소(NYMEX)와 미주지역 석유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원유의 가격을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WTI는 미 서부 텍사스 주와 뉴멕시코주 동남부 등지에서 생산되며, 파이프라인을 통해 오클라호마주의 쿠싱 지역에 저장됩니다.
공급이 육로로 고정되어있어 가격이 비싼 편이며, API지수는 39.6도의 초경질 원유로 유황성분도 0.24%로 매우 낮은 ‘저유황 경질유(light sweet crude oil)’의 고급 원유입니다.
북해산 브렌트유는 영국과 노르웨이 북해지역의 유전인 브렌트, 포티스, 오세 베르크, 에코 피스크의 네 곳에서 생산된 원유로 전통적으로 유럽과 아프리카 원유의 가격 기준이 됩니다.
오늘날 전 세계 모든 원유의 3분의 2가 브렌트유를 기반으로 가격이 산정됩니다.
바다에서 추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송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API지수는 38.06도, 유황성분은 0.37%로 WTI와 마찬가지로 ‘저유황 경질유’로 분류되지만 WTI보다 황 함량이 높아 ‘light sour crude oil’로 불린다.
두바이유는 중동의 아랍에미레이트연합(UAE)에서 생산되는 원유로 오만 원유와 함께 사우디∙이란∙쿠웨이트 등 아시아지역시장에서 거래되는 원유 가격의 기준이 됩니다.
대부분의 중동원유 가격이 두바이유 현물가격에 연동되며, 우리나라 수입 원유 가격은 두바이유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API지수는 31.0도, 유황성분은 2.04%로 ‘고유황 중질유’로 분류된다.
* API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지수
원유의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 입니다.
여기서 비중은 상대적인 개념인데요.
물의 비중을 1이라고 했을 때, 물 대비 얼마나 가벼운지 (또는 무거운지) 나타내는 지표이며, 참고로 원유의 비중은 보통 0.65 ~ 0.99 사이 입니다.
API지수 값이 클수록 경질(勁疾∙light), 값이 작을수록 중질로 봅니다.
보통 API지수가 34도 이상이면 경질유, 24도~34도를 중질(中質∙medium)유, 24도 이하를 중질(重質∙heavy)유라고 한다.
또한, 원유에 유황이 얼마나 섞여 있는지에 따라서 원유를 Sweet와 Sour로 구분하는데요, 황 함유량이 0.7% 이하이면 Sweet라고 표현합니다.
따라서, 제일 좋은 원유는 Light Sweet Crude Oil이 되겠고요. 그래서 WTI가 가장 좋은 원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II. 원유의 정제 과정
원유는 아래 그림과 같이 땅 속(또는 바다 속)에서 뽑아내는 것이므로, 바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원유는 땅 속에서 채취했다면 Pipe Line을 통해 원유 탱크로 운송하고, 바닷속에서 채취했다면 선박을 통해 원유 탱크로 운송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mxYp6/btqPEMTBhLc/fR3d1lzc7nRAktlDQR6mIK/img.png)
정유공장의 원유 탱크에 보관된 원유는 정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HqQ0/btqPLOoZdWC/Yfrbb0Q1fKkZkvXKFutnnk/img.png)
이렇게 정제된 원유는 비로소 자동차에 연료로 사용되는 휘발유나 경유, 난방 보일러에 사용되는 등유 등으로 분류되어 각 주유소로 공급되게 됩니다.
그 외에도 정제 과정에서 생성되는 나프타는 정말 유용하게 쓰이는데요.
아래 그림과 같이 우리가 실생활에 사용하는 거의 모든 공산품이 이 나프타 분해를 통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qx0gD/btqPFVwnKy9/Hb8nUgkckSWmvoqig3YuZK/img.png)
결과적으로 원유의 가격은 직접적으로는 정유 관련 기업부터 화학 관련 기업의 주가에 영향을 미치고, 간접적으로는 중공업, 건설업 주가에 이르기까지 많은 곳에 영향을 미칩니다.
III. 원유 관련주
원유 관련 산업에 대해 이해가 되셨다면, 이제 그와 연관된 관련 주식의 최근 1년 흐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SK이노베이션
![](https://blog.kakaocdn.net/dn/D8kXo/btqPFVpLuMa/VEyMysenmQkpsRwcCVaH6K/img.png)
석유 개발사업, 석유제품 제조/판매 등의 사업을 통해 매출액의 74%를 발생시키는 우리나라 대표 석유 기업입니다.
최근 LG화학과 배터리 특허 관련 분쟁이 계속되던데요.
배터리 사업에 진출했지만, 현재 회사의 수익 사업은 아니고 향후 차세대 먹거리라고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배터리 관련 영업이익은 손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qtn3I/btqPII4DBze/ppgf3lDVfK2rhyeqszAfD1/img.png)
2020년 3분기 분기보고서에는 영업 손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연초 저유가에 따른 재고손실이 고려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2) S-Oil
![](https://blog.kakaocdn.net/dn/veRw1/btqPKuriZpV/Kn1YTOKuPbIA26tkE4SN8K/img.png)
전체 매출에 정유 부분 매출이 76%를 해당하는 정유기업입니다.
눈여겨볼 점은 원유의 대부분을 S-Oil의 최대주주인 AOC의 모회사이자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석유회사인 사우디 아람코(Saudi Aramco)사로부터 안정적인 장기원유공급 보장 여건 하에 수익성 위주의 경영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09l1D/btqPIJvN7qR/IYzCdKHu8ncf5hc9Fkksw0/img.png)
SK이노베이션과 마찬가지로 올해 3분기 분기보고서에는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주가 흐름을 보면 SK이노베이션보다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GS
![](https://blog.kakaocdn.net/dn/ccx6fY/btqPPDOEyU4/Re5iolqjBAaWA7YeeHOrak/img.png)
제가 GS라 쓰고 로고는 GS칼텍스를 썼는지는 아래를 보시면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uE3s4/btqPJMFJ1TN/OxzSke5RebJrvto5kReFxK/img.png)
그룹 지주회사인 GS는 자회사로 GS에너지를 100% 보유하고 있고, GS에너지의 자회사로 GS칼텍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GS칼텍스는 GS의 손자회사인 셈이지요.
![](https://blog.kakaocdn.net/dn/s5ENF/btqPLPaY2m8/lhliym8Oh90vdXemPvxKj1/img.png)
GS의 자회사들을 보면 에너지 섹터의 주가가 올라갈 때 올라가지 못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되네요.
아니면 SK이노베이션이 배터리 사업부문 때문에 고평가 구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
4) 현대중공업지주
![](https://blog.kakaocdn.net/dn/bHiRGN/btqPFUj3JIa/uKanwwMK01OxBO93pv0lbK/img.png)
GS와 마찬가지 케이스입니다.
현대오일뱅크도 현대공업지주의 자회사로 종속되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b9gH/btqPKux5Jq1/knZOCbg1CBgUxYnaBJscn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lBqoA/btqPRBbKEIM/TMA5pJdm3RfhhvTJwF24N0/img.png)
최근에 오른 모습은 자회사인 조선업의 수주 효과인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유가가 상승하면 원유를 채취 및 정제할 수 있는 플랜트 업종과 원유 및 LNG를 운반해야 되는 조선업에 호황이 돌아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5) LG화학
![](https://blog.kakaocdn.net/dn/siiwm/btqPKtTv11A/zd3X5JIijytXUs2OUB4RYK/img.png)
원유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로 제품을 만드는 화학업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G화학은 전체 매출 중 석유화학 산업부문이 차지하는 매출은 작년까지 55.3% 였으나, 코로나로 인한 경기 침체 때문인지 매출은 작년보다 줄어서 2020년 3분기 기준 48.1%를 기록했습니다.
그에 반해 전지 사업부문의 매출은 꾸준히 유지하며, 상대적으로 매출 비중이 38.9%로 늘어난 모습입니다.
하지만, 영업이익 비중을 살펴보면 석유화학 사업부문이 83.3%를 차지하고 있으며, 작년까지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전지 사업부문에서 16.2%를 기록하며, 전지사업 부문의 턴어라운드 하였습니다.
전지 사업부문은 SK이노베이션보다 나은 모습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JCDs/btqPTD1rjdk/V5KhkhKwtgVNs2mOTqABE1/img.png)
주가는 배터리 사업의 기대감으로 인해 저가 대비 많이 상승한 모습입니다.
주가수익비율(PER)가 2020년 3분기 기준 76.33배 이므로 진입에 신중하셔야 될 듯 싶습니다.
6) 롯데케미칼
![](https://blog.kakaocdn.net/dn/bGdANL/btqPKtsxFbN/96ssj9knOPMMG7KeRiJMZ1/img.png)
롯데케미칼은 석유화학 산업 중 특히 기초소재 계열의 전방산업(전기, 전자, 자동차, 기계 등)에 생산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업황은 추세적으로 장기적 사이클을 보이나, 단기적으로는 경기변동과 GDP 성장률에 긴밀한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첨단소재 계열의 경우 세계 경제 성장에 따른 합성수지 수요가 꾸준히 증가 중이며, 전방산업(IT, 전기/전자, 자동차, 의료용 등)의 소재 변화에 따른 기술적 대응이 경기 사이클의 영향보다 중요한 사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부문으로는 '폴리머'에서 매출 약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모노머'에서 매출 약 25% 차지했으나, 올해 3분기까지는 코로나 여파로 인해 모노머에서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폴리머에서 나머지 적자를 채우고 있습니다.
여기서 '폴리머'는 플라스틱 원재료, 가전제품, 자동차 소재의 원재료를 말하며, '모노머'는 석유화학제품 가공원료(합성수지, 합성고무)를 말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AFAHX/btqPIJo2ohr/BdM39y4KAf2eFUIkgxMlIk/img.png)
유가와 글로벌 제조업 PMI지수와 연관이 큰 기업으로 생각됩니다.
7) 대림산업
![](https://blog.kakaocdn.net/dn/drFdRO/btqPFUYJSZM/Qhm7KiLdXpicHkKLG0sqZk/img.png)
여천 NCC를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는 대림산업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J0Dci/btqPFUdlloY/yv53opdmikUmtBQG5VMOp1/img.png)
우리나라 대표 건설회사인 대림산업은 자회사로 여천NCC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가가 상승하면 건설과 화학 업종의 수혜가 예상되는 회사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qnK2G/btqPTCOZpqM/l4qe0WGOsxCZXGFBSpgR61/img.png)
유가상승과는 별개로 주가는 계속 박스권에 머물러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0년 3분기 기준, 주가수익비율(PER)도 4.42배이며, 배당수익률도 1.56%으로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8) 삼성엔지니어링
![](https://blog.kakaocdn.net/dn/DCF9W/btqPKtlInDG/AhizWHLaRWqgaX8q9vTzfk/img.png)
마지막으로 삼성엔지니어링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화공 플랜트를 설계 및 시공하는 건설사입니다.
(이 밖에 화공 플랜트 건설의 메이저 건설사로는 그룹사에서 정유/화학회사를 보유한 '대림산업, GS건설, SK건설(비상장)'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HimbH/btqPTEMN5fv/AaJU818LdfLkPZ69eLI3Lk/img.png)
삼성엔지니어링의 사업 구조는 화공플랜트와 산업설비가 매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화공플랜트는 사우디 쪽에서 강세를 띄고 있으며, 유가상승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또한, 삼성전자 및 삼성 계열사의 공장 증설을 통한 꾸준한 건설 수요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2020년 3분기 기준, 주가수익비율(PER)는 10.51배로 양호한 수준으로 보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재 관련주 - 철강 (0) | 2020.12.13 |
---|---|
원자재 관련주 - 구리 (0) | 2020.12.11 |
'ESG' 에 대한 생각 (0) | 2020.12.08 |
김현미 장관의 지난 정책들, 그리고 변창흠 후보자 (0) | 2020.12.06 |
탄소배출권 3기 영향 (0) | 2020.12.06 |